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유클리드 거리
- 진보성
- 모든 경우수 돌기
- gsoap
- 주성분 분석
- 직선의 방정식
- 전세
- SQLite
- 모터종류
- 알고리즘
- SW검정
- 보정서
- 주식
- SW 검정
- algorithm 함수
- Linux
- pca
- 플레인 스위핑
- PID
- WebService
- 최소 신장 트리
- 리본
- Ctrl z
- 동적 프로그래밍
- PID 제어
- 특허
- 동적프로그래밍
- vc mfc
- 네트워크 문제 해결
- 리눅스
- Today
- Total
목록임베디드 (6)
박문식 http://forum.falinux.com/zbxe/index.php?document_srl=533239 2010.11.20 17:37:55 (*.82.68.231) 88877 objdump를 이용한 oops 메세지 분석을 통한 디버깅. 쉽게 쉽게... 고의로 커널 패닉을 낸후에 그 위치를 찾는 방법을 설명한다. 커널 패닉의 종류는 꽈꽉 꼬여있는 라이브러리에서 발생하기도 하고 도저히 찾을수 없는 위치에 존재하기도 한다.(그런 경우는 알아서 하자) 다만, printk 를 한줄씩 넣어가면 하는 디버깅보다는 운이 좋다면 한번에 정확한 위치를 찾을수도 있다. 커널의 init/main.c 함수에는 start_kernel 함수가 있다. 여기에서 고의로 널포인터를 넣고 웁스 패닉을 낸후에 그 위치를 찾아보자..
원본출처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hlee7708&logNo=120115168818&viewDate=¤tPage=1&listtype=0 Alignment trap: bacnetws_server (30549) PC=0x0008dd40 Instr=0xe5933148 Address=0xbeff0069 FSR 0x001 6548) 위와 같이 에러 나는 위치 찾기 우선 strip 하기전 실행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리눅스 상에서 "arm-linux-objdump -lD ws.bin > a.ds"
(1)SDRAM 측면 RAM은 SRAM(Static RAM)과 DRAM(Dynamic RAM)으로 나뉜다. SRAM은 플립플랍(논리게이트)을 이용하여 비트 데이타를 저장한다. 가장 빠른 램의 형태 로 외부 지원 회로가 거의 필요없으며 전력 소모가 상대적으로 낮다. 반면 비트 당 저장 비용이 비싸다. DRAM은 커패시터 배열을 이용하여 비트 데이타를 저장한다. 커패시터 배열이 전하를 금방 방전해 버리므로 DRAM은 1000분의 1초와 같은 일정 주기로 재충전을 해주어야 한다. 바로 이 재충전을 위해서는 부가회로가 필요하며, 재충전으로 인해 프로세서가 메모리를 참조 하는 과정이 지연될 수 있다. 반면 비트 당 저장 비용은 싸다. 컴퓨터의 메모리 계층구조에서, 바로 캐쉬가 SRAM으로 구성되고 주메모리가 DR..
yaffs2는 정식 커널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리눅스에서 yaffs fs를 쓰고싶다면 http://www.aleph1.co.uk/cgi-bin/viewcvs.cgi/ 가서 일단 Download tarball로 최신 yaffs2커널을 다운 받는다. 이제 압축을 풀고 yaffs2디렉토리로 들어가 ./patch-ker.sh c /samba/linux-2.6.15 를 입력하면 커널옵션과 Makefile에 자동으로 yaffs2가 삽입된다. 그런다음 make menuconfig에서 File System -> Miscellaneous filesystems에 가면 yaffs2 커널옵션이 나타난다.
NAND 플래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페이지 : 최소단위의 영역이며 512바이트 이다. 블 럭 : 32페이지의 집합이다. 즉 16Kbyte이다. 플래시는 지운후에 쓸수 있는 구조이다. NAND 플래시에서의 지우기 영역의 크기는 블럭의 크기이다. NAND 플래시 핀설명 I/O0 ~ I/O7 : 데이타 버스이다. CLE : High 가 되면 현재 버스의 데이타는 명령어 임을 나타낸다. ALE : High 가 되면 현재 버스의 데이타는 주소 임을 나타낸다. nCE : 칩 셀렉터 이다. nRE : 버스 읽기 신호이다. nWE : 버스 쓰기 신호이다. nWP : Low 가 되면 쓰기나 지우기가 되지 않는다. 풀업이나 풀다운으로 연결한다. R/nB : Low 가 되면 현재 작업중임을 알리는 것이다. 풀업으로 사용한다...
What does the message "Empty flash at 0x00003ffc ends at 0x00004000" mean? This warning is due to the JFFS2 image being created with a different eraseblock size to the one being used by JFFS2. This may be due to not specifying the eraseblock size to mkfs.jffs2, or due to JFFS2 enlarging the eraseblock size due to memory limits.